국내/해외뉴스
동아인베스트-대한민국 해외선물옵션 1위의 국내/해외뉴스입니다.
美금리 인상 후폭풍 온다…"신흥국 수출비중↓, 수출 채산성 악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057회 작성일22-04-11 09:31본문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후폭풍으로 한국 경제에도 상당한 악영향이 있을 것이란 분석이 제기됐다. 다음 달 미국의 빅스텝(한 번에 0.5%포인트 인상)에 대비해 선제적 기업대출 완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1일 발표한 ‘미국 금리 인상이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본격적인 금리 인상이 신흥국의 경제와 수입수요를 둔화시켜,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2013년 최대 48.1%에 달했던 신흥국 수출비중은 2015년 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 2017년 44.5%까지 감소(-3.6%포인트)했고, 미국의 금리 인상을 앞둔 지난 2월에도 작년 12월 대비 1.5%포인트 감소했다고 밝혔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신흥국의 자본유출과 경기 둔화로 이어지면서 신흥국의 수입수요가 상대적으로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본격적인 미국의 금리 인상을 앞두고 수출기업들의 유동성도 빠르게 악화되고 있다. 국내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과거 미국의 금리 인상기(2016년 7월~2017년 10월)에 30개월 동안 0.5%포인트 인상에 그쳤으나, 최근에는 2021년 5월부터 올 2월까지 10개월 동안 0.8%포인트나 상승했다.
보고서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이어져 달러 결제 수입비용을 증가시켜 수출채산성이 악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원/달러 환율이 1200원을 돌파하면서 원화 기준 원자재 수입부담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체 수입에서 1차 산품과 중간재 수입비중이 73%에 달하기 때문에 최근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 현상은 환율 상승과 함께 원자재 수입부담을 배가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다만 미국의 금리 인상을 계기로 엔화 약세가 가시화되고 있지만 우리 수출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했다. 일본 정부가 엔화 약세를 유도했던 기간(2012년~2016년) 중 일본의 수출물량 증가율은 연간 1%포인트 미만에 불과했다는 이유에서다.
무역협회 홍지상 연구위원은 “미국의 가파른 금리 인상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기업대출 완화 대책을 마련하고 해상운임 등 수출기업의 부대비용을 절감해 원가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1일 발표한 ‘미국 금리 인상이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본격적인 금리 인상이 신흥국의 경제와 수입수요를 둔화시켜,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2013년 최대 48.1%에 달했던 신흥국 수출비중은 2015년 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 2017년 44.5%까지 감소(-3.6%포인트)했고, 미국의 금리 인상을 앞둔 지난 2월에도 작년 12월 대비 1.5%포인트 감소했다고 밝혔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신흥국의 자본유출과 경기 둔화로 이어지면서 신흥국의 수입수요가 상대적으로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본격적인 미국의 금리 인상을 앞두고 수출기업들의 유동성도 빠르게 악화되고 있다. 국내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과거 미국의 금리 인상기(2016년 7월~2017년 10월)에 30개월 동안 0.5%포인트 인상에 그쳤으나, 최근에는 2021년 5월부터 올 2월까지 10개월 동안 0.8%포인트나 상승했다.
보고서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이어져 달러 결제 수입비용을 증가시켜 수출채산성이 악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원/달러 환율이 1200원을 돌파하면서 원화 기준 원자재 수입부담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체 수입에서 1차 산품과 중간재 수입비중이 73%에 달하기 때문에 최근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 현상은 환율 상승과 함께 원자재 수입부담을 배가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다만 미국의 금리 인상을 계기로 엔화 약세가 가시화되고 있지만 우리 수출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했다. 일본 정부가 엔화 약세를 유도했던 기간(2012년~2016년) 중 일본의 수출물량 증가율은 연간 1%포인트 미만에 불과했다는 이유에서다.
무역협회 홍지상 연구위원은 “미국의 가파른 금리 인상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기업대출 완화 대책을 마련하고 해상운임 등 수출기업의 부대비용을 절감해 원가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목록